Create your future with AI
기존 진로 상담은 20세기 직업군에 대한 데이터 분석입니다. 현재와 가까운 미래에 AI가 거의 모든 직업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21세기 AI 중심의 진로 및 직업 코스웨어가 개발로 차별화가 필요합니다. (AI에 영향을 받는 직업군과 그렇지 않은 직업군을 분류하는 것은 이제는 별 의미가 없으며, AI가 인간을 대체하는 것 보다는 AI 능력을 가진 인간이 그렇지 못한 인간을 대체할 것입니다)
1. 제작 방식
- 1개의 웹사이트에 학교별 ID를 부여하는 방식
- 2. 학교별 개별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방식
2. 가칭 - AI 진로 패스파인더 (Pathfinder)
- pathfinder.ai.kr
- aipathfinder.co.kr
- aipathfinder.kr
- careerpathfinder.co.kr
- careerpathfinder.kr
3. 슬로건
- Create your future wiht AI
- AI Won’t Replace Humans — But Humans With AI Will Replace Humans Without AI
- 행복은 목표가 아니고 도구입니다!
- 오래 살고 오래 일해야 하는 시대에 행복은 목표 삶의 목표가 아니라 도구입니다 - 크기가 아닌 빈도 늘려야 합니다.
- AI 시대에 기술 + 인문 + 사회 이해가 융합된 사람이 살아남는다
4. GPT 제안 - 정부지원형 코스웨어 설계
- 교육부·고용부에서 인증한 검사 도구 활용 (워크넷, 커리어넷 등 연계)
- 검사 결과 + 탐색 활동 + 역량 강화까지 성과물 중심 구성
- 웹 기반 콘텐츠 or LMS / AI툴 연계 수업 가능성 강조
- 지자체 연계 가능: 지역 직업인 인터뷰, 지역산업군 포함
- 초/중/고/대학생 버전 차별화 제공 가능성 강조
- 직업 변화 퀴즈 - “이 직업은 증가할까? 감소할까?” 퀴즈형 콘텐츠
제가 제안하는 Idea
- 보조 콘텐츠 - 한국어와 영어 학습이 AI 능력의 기반
- NCS 활용 - 논리적, 비판적 사고력에 도움
- 한국어 능력검정시험 - 문해력을 향상
- 직업계 고등학교 지역인재 공무원 시험을 지원 (예를 들어 영어 인강 무료 제공 또는 할인 - 고1부터 수강 가능)
5. GPT 제안 - AI 활용 능력에 필요한 것
현 세대와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(AI)이 전체 직업군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기 때문에, 초·중·고 학생들이 길러야 할 능력은 단순히 기존 과목 성적 이상의 융합적 사고력, 창의성, 인간 고유의 감성 및 판단력, 그리고 디지털 활용 능력 중심으로 바뀌고 있습니다.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능력들이 중요합니다
- 비판적 사고력 (Critical Thinking) - AI가 제공하는 정보를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, 분석하고, 의문을 제기하고, 맥락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
- 창의성 (Creativity) - 예술, 디자인, 스토리텔링, 문제 해결 아이디어 등 새로운 시각을 가진 창의적 사고
- 공감능력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(Empathy & Communication) -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하고, 이해하고, 조율하는 능력
- 문제 해결 능력 (Problem Solving) - 교과서 문제 해결이 아니라, 현실의 모호하고 복합적인 문제를 분석하고 접근하는 능력
- 융합적 사고력 (Interdisciplinary Thinking) - 철학적 사고와 기술 윤리를 함께 이해하는 능력, 과학적 지식과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을 함께 갖춘 인재
- 디지털 리터러시 (Digital Literacy) - 단순한 컴퓨터 활용을 넘어서, AI, 빅데이터, 코딩 등의 기본적인 이해하고 AI 툴을 비판적으로 활용하고, 생산적으로 사용하는 능력

AI 시대 인재의 조건
1. 메타인지 – 나를 아는 능력 (스스로 무엇을 얼마나 알고 모르는지를 파악하는 능력) –> 나의 과거보다는 3년 후 나의 미래를 구체적으로 설계
2. 질문력 – 호기심을 키워라 No Silly Questions
3. 휴식력 – No Rest No Gain
4. 다양한 시각 – 고정관념 깨기
6. 적성검사 유형
- MBTI 성격유형 검사
- HEXACO테스트 – 한국인에게 적합한 모델인데 활용사례가 거의 없고 MBTI보다 덜 흥미롭지만 더 정확함 = big 5 questionnaire + 정직겸손성 = 100 문항 (어쩌다 어른에 김경일 심리학자가 소개)
- STRONG 직업흥미검사 – 각 대학교에서 실행
- 직업흥미검사(H) – Holland 진로유형검사를 기반으로 주니어 커리어넷에서 활용
- 직업흥미검사(K) – 중고등부 커리어넷에서 활용 -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자체 개발